
![[보도자료]두산퓨얼셀, 코오롱글로벌과 바이오가스 활용한 수소연료전지 사업모델 개발](https://www.doosannewsroom.com/wp-content/uploads/2023/03/대외_두산퓨얼셀-코오롱글로벌-MOU-768x438.jpg)
[보도자료]두산퓨얼셀, 코오롱글로벌과 바이오가스 활용한 수소연료전지 사업모델 개발
2023. 03. 22 두산퓨얼셀이 국내 청정수소발전의무화제도(CHPS) 대응을 위해 주요 기업들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해 나간다. 두산퓨얼셀은 22일, 동대문 두산타워에서 코오롱글로벌과 ‘중장기 사업 및 협력분야 확대를 위한 기본합의서’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두산퓨얼셀 정형락 대표이사, 코오롱글로벌 김정일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사는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친환경 수소연료전지 사업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두산퓨얼셀은 수소연료전지 공급, 장기유지보수(LTSA) 등을 담당하고, 코오롱글로벌은 바이오가스 공급, EPC, 배관시설 확보 등을 수행한다. 또한 양사는 사업에 필요한 제반 인허가, 기술 교류 등에도 협업하기로 했다.
![[보도자료]두산에너빌리티, 중앙아시아서 연이은 수주](https://www.doosannewsroom.com/wp-content/uploads/2022/08/두산에너빌리티_logo.jpg)
[보도자료]두산에너빌리티, 중앙아시아서 연이은 수주
2023. 03. 22 - 우즈베키스탄 첫 수주…600억원 규모 LNG발전 기자재 공급 계약 - 민관합동사업 활발한 우즈벡 등 중앙아시아서 영업 강화 두산에너빌리티가 중앙아시아 천연가스(LNG)발전 시장에서 연이은 수주에 성공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중국의 EPC社인 하얼빈일렉트릭(HEI, Harbin Electric International)으로부터 우즈베키스탄 ‘시르다리야 2단계 천연가스발전소’ 기자재 공급 계약 착수지시서(NTP, Notice to Proceed)를 접수했다고 22일 밝혔다. 계약금액은 약 600억원 규모로, 우즈베키스탄에서는 첫 수주다. 지난 15일 카자흐스탄에서 1조 1500억원 규모의 발전소 공사 계약 이후 일주일 만이다. 이 발전소는 1600MW급 규모로 우즈베키스탄의 수도 타슈켄트(Tashkent) 남쪽으로 150km 떨어진 시르다리야(Syrdaria)주에 2026년 상업운전을 목표로 건설된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이번 계약으로 500MW급 스팀터빈과 발전기 등을 공급할 예정이다. 두산에너빌리티 박홍욱 파워서비스BG장은 “중앙아시아에서 성장 잠재력이 가장 높은 우즈베키스탄은 현재 민관합동사업(PPP, public-private…
![[보도자료]두산로보틱스, 협동로봇 활용한 의료용 솔루션 선보인다](https://www.doosannewsroom.com/wp-content/uploads/2023/03/대외_두산로보틱스-핀거지조-MOU.jpg)
[보도자료]두산로보틱스, 협동로봇 활용한 의료용 솔루션 선보인다
2023. 03. 21 두산로보틱스가 협동로봇을 활용한 의료용 솔루션을 선보이며, 의료분야로 사업영역 확대에 나선다. 두산로보틱스는 21일, 경기도 성남시 분당두산타워에서 중국 광시좡족자치구 소재 시스템 통합(SI) 업체 핀거지조(Guangxi Pinge digital industry intelligent)와 ‘협동로봇 의료용 솔루션 개발 및 판매’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두산로보틱스 류정훈 대표, 핀거지조 량즈훙(Liang Zhihong)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가 선보일 의료용 솔루션은 시료 균질화, 배지 준비, 미생물 배양, 미생물 접종, 검출 및 판별 등 전체 공정을 모듈화 해 여러 유형의 샘플을 동시에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샘플 입력 및 결과 출력, 실험 정보 실시간 모니터링 등도 가능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