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태그 검색 결과

'두산연강환경학술상'의 검색 결과 1

뉴스 (4)

[보도자료]두산연강재단, 2025 두산연강환경학술상 시상

 – 서울대학교 이창하 교수, 포항공과대학교 조강우 교수 수상 두산연강재단(이사장 박용현)은 19일, 제주 신화월드에서 진행된 대한환경공학회 학술대회에서 ‘2025 두산연강환경학술상’ 시상식을 열고 서울대학교 이창하 교수에게 3천만 원, 포항공과대학교 조강우 교수에게 1천만 원의 상금과 상패를 수여했다. 수상자로 선정된 이창하 교수는 ‘고원자가 금속 화학종’*의 반응 원리를 규명하여, 오염물질을 표적하는 ‘타켓형 수처리 기술’ 개발의 가능성을 연 공로를 인정받았다. *고원자가 금속 화학종 (High Valent Metal, HVM) : 높은 산화 상태의 금속 이온으로, 특정 오염물질과 선택적으로 결합한 뒤 결합된 오염물질을 빠르게 산화·분해할 수 있는 화학종 조강우 교수는 극소량의 귀금속이 함유된 산화전극으로 폐수를 전기 분해하여, 수질을 정화하고 수소발생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시했다. 두산연강환경학술상은 두산연강재단이 1993년부터 2017년까지 25년간 실시해온…

자세히 보기

[보도자료]두산연강재단, 2021 두산연강환경학술상 시상

 – 건국대 안윤주 교수, 울산과학기술원 최성득 교수, 고려대 홍승관 교수 수상 두산연강재단(이사장 박용현)은 3일 ‘2021 두산연강환경학술상’ 시상식을 열고, 수상자인 건국대 안윤주 교수에게 상금 2천만 원과 상패를, 울산과학기술원 최성득 교수와 고려대 홍승관 교수에게 각 1천만 원의 상금과 상패를 수여했다. 안윤주 교수는 ‘토양내 미세플라스틱의 생물파편 현상 및 토양생물 번식·체강세포 활성 저해’ 라는 논문에서 그동안 비교적 관심이 부족했던 토양내 미세플라스틱의 악영향을 규명해 수상자로 선정됐다. 최성득 교수는 ‘미세먼지 오염원 추적을 위한 할로겐화 유기오염물질 모니터링과 고해상도 위해성평가 기술 개발’  이라는 논문에서 미세먼지 유해물질에 대한 모니터링 기술을 개발하고,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해 고해상도 오염지도를 제작하는 성과를 냈다. 홍승관 교수는 ‘역삼투기반 해수담수화 공정의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막축전식탈염-역전기투석* 통합시스템’  이라는 논문을 통해 새로운…

자세히 보기

뉴스레터 신청

두산뉴스룸은 이벤트 및 최신 소식 등 다양한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합니다.

개인정보 처리 동의

(주)두산은 ‘개인정보호호법’ 등 관련 법령에 따라 귀하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자 합니다. 귀하께서는 아래의 사항을 자세히 읽어보시고 모든 내용을 숙지하신 후에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여부를 선택해 주시기 바랍니다.

개인정보의 수집/이용 동의


수집항목
이메일주소,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수집∙이용목적
1. 두산뉴스룸 뉴스레터 발송
2. 서비스 이용 분석을 통한 서비스 향상

이용∙보유기간
수집 시점으로부터 1년

귀하는 위와 같은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않으실 수 있습니다. 동의 거부 시에는 뉴스레터 서비스의 이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고성 정보 수집·이용 동의(선택)

(주)두산은 광고성 정보 발송을 위해 귀하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자 합니다. 귀하께서는 아래의 사항을 자세히 읽어보시고 모든 내용을 숙지하신 후에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여부를 선택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집항목
이메일주소

수집∙이용목적
1. 두산뉴스룸 광고성 정보 발송

이용∙보유기간
수집 시점으로부터 1년

귀하는 위와 같은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않으실 수 있습니다. 동의 거부 시에는 프로모션, 이벤트 등의 광고성 정보 수신이 제한됩니다.
※ 뉴스레터 발송 외 다른 목적으로 활용되지 않으며, 동의하지 않을 경우 뉴스레터 신청이 되지 않습니다.
닫기